반응형

초보 카메라맨을 위하여(교재) 16

배경과 피사체의 초점을 함께 잡는다?

➆ 피사체와 배경의 초점을 함께 잡는다?      앞에 피사체가 있고 뒤 배경이 있다고 가정하거나. 세 송 이 꽃이 거리상 차이를 두고 두세 송이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 세 꽃의 초점을 함께 잡아 촬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망원렌즈로 당겨서 찍는다면 더욱 그럴 것이다. 꽃 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지붕 배경을 정리해줘야 된다. 그러나 지붕과 꽃을 함께 초점을 잡고 싶다면 후보정으로 이를 극복 할 수 있다. 다음 세 사진을 본다.첫 번 사진은 홍매화에 초점이, 두 번째 사진은 지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진은 지붕과 매화 둘 다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두 사진에서 초점이 맞은 부분만 합성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먼저 사진을 찍을 때 초점을 달리해..

포토샵으로 쉽게 별궤적(별돌리기) 만들 수 있습니다

② 포토샵에서 별 궤적 간단하게 만든다.     궤적 촬영은 지나간 흔적을 연결하는 작업이다. 카메라 인터벌 최대 시간은 30초이다. 적어도 100컷 이상의 사진이 있어야 별 궤적이 만들어 진다. Raw 파일 100장을 컴퓨터에서 불러오면 컴퓨터 사양에 따라 작업 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별은 jpg 작은 파일로 찍기도 한다. 큰 무리는 없다. 그러나 인터벌 릴리즈를 이용해서 한 컷을 4-5분 정도 찍는 다면 몇 컷으로 궤적을 촬영하여 저 사양 컴퓨터에서도 간단하게 궤적 합 성을 할 수 있다. 5분 노출 사진 10장이면 50분 정도의 궤적을 볼 수 있 다. 아름다운 길 100선의 하나인 칠갑산 나선형도로에서 찍은 별 궤적 이다. 11장 사진을 불러온다.불러오는 방법은 앞서 설명을 한 바가 있다. ..

사진을 선명하게 촬영

⑨ Sharpen     사진에 있어서 샤픈이란 선명도를 말한다. 샤픈 보정은 흐릿한 사진을 선명하게 하고, 선명도가 떨어지는 사진에 활력을 불어 넣는 효과를 준다. 곡선 툴로 대비를 주는 것이나, 다찌 툴로 한 부분의 밝기를 보정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넓은 의미로 샤픈 과정이라 보면 된다. 이만큼 사진 에 있어서 Sharpen샤픈은 필수 보정이다. photoshap 필터에서 샤픈을 열면 6개의 메뉴가 있지만 더 많은 곳에서 샤픈 작업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면 샤픈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대비가 드러나기 위해선 경계선 이 필요하다. 경계를 중심으로 대비를 이루어야 한다. 사진 전체에 똑 같은 효과를 주어선 달라지는게 없을 것이다. 어떤 기준이 되는 선은 밝고 어두운 곳을 나누는 선이 된다. 이를 중심으로 ..

사진 노출 보정

④ 노출 보정         사진은 빛의 예술이다. 사진은 빛을 노출로 받아들이는 예술이다. 그러므로 사진에서 노출은 아주 중요하다. 사진에서 노출 보정을 가장 먼저 해야 한다고 생각되지만 사진에 푸른기가 많을 때에는 노출 상태를 제대로 평가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그래서 화이트 밸런스를 먼저 보정한 후 노출을 보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 적인 것 같다.        위 원본사진은 Raw 파일로 촬영되었는데 전체적으로 노출이 부족하다. 노출 보정을 한방에 하는 방법은 Auto 기능이다. Auto를 눌러보면 Camera Raw 10.2버전의 경우 9개의 바가 자동으로 움직여서 보정을 해낸다. 만족한다면 여기서 끝을 내어도 된다. 각 슬라이더마다 자동 노출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보다 더 개성 있는 사진을 원한..

후보정(사진보정)

Ⅴ. 후보정 카메라를 처음 하는 분이라면 아무리 정성 들여 촬영을 해도 노출이 부족하거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수평이 맞지 않은 사 진은 일부러 만든 사진이 아니라면 안정감이 없고 어색하다. 카메라는 측거점에 따라 노출 차이가 크기 때문에 노출이 부족하거 나 노출 과다가 일어나게 마련이다. 역시 좋은 사진이 아니다. 노출뿐만 아니라 색온도에서도 문제가 있다. 봄이고 아침이라 면 아침빛에 맞는 화이트밸런스를 설정해 주면 아침빛에 적당한 색감이 들어간 사진이 촬영된다. 하지만 아침이라고 해서 모두가 같은 빛도 아 니다. 해가 구름 속에 들어가고 나오면 빛은 달라지게 마련이다. 그때마다 수시로 화이트밸런스를 조절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자동 (Auto)에 놓고 촬영하지만 작가의 개성에 ..

별사진 찍기

별 사진 찍기 전국 곳곳 광해가 적고 고도가 좀 높은 산에 많은 천문대가 들어서 있다. 그 만큼 별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별 사진은 은하수를 비롯해 끝없이 펼쳐져 있는 수많은 별 풍경을 찍을 수도 있고, 천문대에서 볼 수 있는 특정한 별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 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로서는 가늠조차 쉽지 않은 먼 거리에 위치한 별의 속살을 찍어내기는 불가능하다. 여름밤 마당 밀방석에 누워 올려다 본 하늘의 별 무리들을 한 컷의 사진으로 담는 일도 쉬운 작업은 아니다. 별 사진은 주로 궤적과 점상 촬영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이런 별 풍 경을 한 컷 사진에 담는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① 별 사진 찍기 조건 ⓐ 구름과 미세먼지 등이 없고 달이 없는 날. 음력으로 초순과 하순이 좋다. ..

사진 구도의 이해

3. 사진 구도의 이해  ① 구도의 정의  구도의 사전적 의미는 미적 효과를 얻기 위해 전체적으로 조화되게 배치하는 도면 구성의 짜임새이다. 시야에 보이는 넓은 화각에서 주제 부 제 등 의도에 맞는 피사체와 배경을 최대의 미적 효과를 나타내고 조화를 이루도록 사진 프레임에 잡아 주는 것이다. ② 사진 구도의 기본   사진 구도의 기본은 빼기라고 한다. 넓은 화각 가운데 의도된 주제 와 부제를 최대한 드러내기 위해선 불필요한 것들을 과감하게 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무리 매력적인 피사체라 하더라도 주제가 가려지는 것 이라면 화면에서 배제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옛날부터 전해오는 “풍경 사진의 구도는 뺄셈”이라는 원리이다. ③ 3분할 4분할 앵글의 구도는 답이 없다.  디카로 사진을 찍는다는 행위는 예술이..

사진 촬영 어떻게 하나?

Ⅳ. 사진 촬영 어떻게 하나?    1. 일반 디지털 카메라(똑따기)와 SLR · DSLR  ①디지털 카메라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되어있고 실상 광학식 뷰파인더가 없 는 카메라 ② SLR   렌즈와 필름 사이에 거울 등의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화상을 뷰파인 더에 투사하는 카메라를 말한다. 대부분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상단 부 분에 빛을 반사시키는 한편 좌우를 바꿔 주는 루프 펜타프리즘을 장착하 여 렌즈를 통과한 화상이 뷰파인더에 맺히도록 한다. ③ DSLR   기본적인 구조는 일반 필름 SLR 카메라와 같으나, 필름이 디지털 센서로 바뀌었고 그 디지털 센서를 조정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와 전원 장치, 필름 대신 사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등이 들어가 있어 기계 적, 전자적으로 상당히 (..

좋은 사진을 찍으려면

5. 많은 컷을 찍어라    촬영은 연사 모드로 설정을 하고 단 컷을 찍거나 여러 장을 연사로 찍는 것이 좋다. 니콘의 경우 싱글 느린 연사 빠른 연사가 있는데 나는 평소 빠른 연사 늦은 연사에 놓고 사용한다. 1초당 5컷 정도 찍히는 연사인데 늘 다섯 장 이상 찍는 다는 것은 아니다. 연사 모드에서 필요한 만큼만 찍는 것이다. 두 세 장 필요하면 더 이상 원하는 만큼만 한 번의 조작으로 찍어내면 된다. 평소 연사 연습을 하여 원하는 만큼만 찍어야 한다. 필름으로 찍는 것도 아닌데 셔터를 아끼지 말자. 아주 중요한 장 면을 한 컷으로 찍는 것보다는 두세 컷 찍는 것이 실수할 가능성이 적다. 연사의 연습은 경마장에서 경기마를 찍거나 날아가는 새를 찍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하다.   빠른 연사 경우 파일 ..

카메라 촬영 모드 설정

4. 모드 설정   ① 셔터모드(shutter mode)   브랜드에 따라 표기는 좀 다르지만 모드는 A/Av. S/Tv. M. P 4개 로 나뉘어져 있다.    A/Av : 조리개 우선.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커맨드 · 서브 다 이얼로 사용 중에 쉽게 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심도 조절만 하면 노출 제어는 카메라가 알아서 하며 주로 광량이 충분할 때에 때 유리하다.   S : 셔터 우선. 달리는 말이라든가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때나 광량이 부족하여 일정한 셔터스피드를 얻고 싶을 때 주로 사용. 셔터 속도를 사용자가 설정하면 카메라가 알아서 조리개 값을 결정한다.    M : 수동모드. 촬영자가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직접 조절하여 촬영하 는 방법이다. 낮이나 밤이나 셔터와 조리개를 임의대..

반응형